백남준
PAIK NAM JUNE

“ 콜라주 기법이 유화물감을 대신하듯이 언젠가는 브라운관이 캔버스를 대신할 때가 올 것이다. ”

비디오 예술의 선구자이며 전위적이고 실험적인 공연과 전시의 표상인 백남준은 1932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백남준은 한국 국적이지만 어느 지역 또는 국적, 특정 문화에 국한되지 않는 ‘유목민적’ 예술 정서를 생애 동안 작품을 통해 표방하였다. 일본 도쿄대학 미학미술사학과를 수학한 후 1956년 독일 뮌헨으로 유학을 떠나 1958년 연주자가 아무것도 연주하지 않는 를 작곡한 현대 음악가 존 케이지를 만나 큰 감명을 받았다. 이후 1960년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저절로 구성되는 것을 표현하는 전위 예술 흐름인 플럭서스 운동의 중심에서 활동하며 음악의 구성을 해제하고 [심플](1960), [머리를 위한 선](1961) 등의 눈으로 보고 몸으로 느껴지는 파격적인 퍼포먼스를 통해 아티스트로서 유명해지기 시작했다. 이어 TV와 비디오로 매체를 확장시키며 그만의 독창적인 예술 세계를 확립하고 예술에 대한 이전의 경계와 범위를 무너뜨렸다.

백남준은 “예술가는 미래를 사유할 수 있어야 한다”라고 주장하며 진보하는 새로운 테크놀로지에 개방적인 반면, 미디어와 인간과의 소통에 중점을 둔 반(反)테크놀로지를 강조하였다. 그는 TV의 내부 회로를 조작하여 수신 이미지를 조작하거나 관람객의 참여를 유도하였으며, 1980년 위성 기술을 이용한 생방송을 기획, 제작하여 지역의 한계를 넘어 균등한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전위 예술과 대중문화를 잇는 실천적 예술의 행보를 선보였다.

미디어를 통하여 인간의 커뮤니케이션을 강조했던 백남준은 창조적인 예술의 선구자이면서 미래를 내다보는 가장 인간적인 예술가로서, 그의 작품이 주는 메시지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여전히 유효하다.

“한편에 예술이란 불리는 것이 있고, 다른 한편에 커뮤니케이션이라 불리는 것이 있다. 가끔씩 그 둘이 그리는 곡선이 교차한다. 그것이 우리가 말하고자 하는 주제이며 어쩌면 우리의 꿈일지도 모른다.”
ㅡ백남준 (1980)

b. 1932 서울, 대한민국

d. 2006 마이애미, 미국

  • 주요 개인전

    • 1999

      • Asbaek Gallery, 코펜하겐, 덴마크
    • 1995

      • High Tech Allergy, Kunstmuseum, 볼프스부르크, 독일
      • Electronic Superhighway, Holly Solomon Gallery, 뉴욕, 미국
    • 1994

      • Fukuoka Art Museum, 후쿠오카, 일본
      • The Electronic Super Highway, Fort Lauderdale Museum of Art, 포트로더데일, 미국
      • Lo Sciamano del Video, Arengario in the Palazzo Reale, 밀라노, 이탈리아
    • 1993

      • Nam June Paik Recent Works, The Watari Museum of Contemporary Art, 도쿄, 일본
    • 1992

      • II Nvecento di Nam June Paik, Palazzo delle Esposizioni, 로마, 이탈리아
      • 비디오 때, 비디오 땅,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대한민국
      • 현대갤러리, 서울, 대한민국
      • Nam June Paik: Neue Arbeiten, Galerie Hans Mayer, 뒤셀도르프, 독일
    • 1991

      • Nam June Paik: Video Sculpture, The Mayor Gallery, 런던, 영국
      • Galerie Berndt und Krips, 쾰른, 독일
      • a Pas de Lou: De Séoul à Budapest, 갤러리현대 &원갤러리, 서울, 대한민국
    • 1990

      • Galerie Lüpke, 프랑크프루트, 독일
      • Galerie Hans Mayer, 뒤셀도르프, 독일
      • Chiostri di San Domenico, Reggio Emilia, 이탈리아
      • Nam June Paik: TV, Galerie Marika Malacorda, 제네바, 스위스
    • 1989

      • Nam June Paik: Recent Paintings and Sculpture, Holly Solomon Gallery, 뉴욕, 미국
      • San Francisco Museum of Modern Art, 샌프란시스코, 미국
      • La Fée électroniqu, Museo de Bellas Artes de Bilbao, 빌바오, 스페인
    • 1988

      • Metrobot, Contemporary Arts Center, 신시내티, 미국
      • Nam June Paik: "V-Idea, Nigel Greenwood Gallery, 런던, 영국
      • Nam June Paik: Video Works 1963-88, hayward Gallery, 런던, 영국
    • 1987

      • Fukui Theater FBC, 후쿠이현, 일본
      • Bye-Bye Kipling Drawings, Galerie Watari, 도쿄, 일본
    • 1986

      • Family of Robot, Holly Solomon Gallery, 뉴욕, 미국
      • Family of Robot, Carl Solway Gallery, 신시내티, 미국
    • 1984

      • Art for 25 Million People, daadagalerie, 베를린, 독일
      • Nam June Paik: BSO and Beyond, Institute of Contemporary Art, 보스턴, 미국
      • Nam June Paik--Mostly Video, Tokyo Metropolitan Art Museum, 도쿄, 일본
    • 1983

      • Video Flag, Carl Solway Gallery, 신시내티, 미국
    • 1982

      • Nam June Paik, Centre Georges Pompidou, 파리, 프랑스
      •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뉴욕, 미국
    • 1981

      • By with of on Beuys, Cage, Cunningham, paik, Galerie Watari, 도쿄, 일본
    • 1980

      • VIDEA Iro Iro: PAPER TV and Tropical Fish, Galerie Watari, 도쿄, 일본
      • The New American Filmmakers Series, Nam Jue Paik,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뉴욕, 미국
    • 1978

      • Nam June Paik Rétrospective, Musée d'Art Moderne de la Ville de Paris, 파리, 프랑스
      • Fluxus Traffic, René Block Gallery, 베를린, 독일
      • A Tribute to John Cage, Galerie Watari, 도쿄, 일본
    • 1977

      • Projects: Nam June Paik, The Museum of Modern Art, 뉴욕, 미국
    • 1976

      • fish Files on the Sky, Bonino in Soho, 뉴욕, 미국
      • Moon Is the Oldest TV-Set, René Block Gallery, 뉴욕, 미국
    • 1975

      • Nam June Paik, René Block Gallery, 뉴욕, 미국
      • Fish on the Sky, Martha Jackson Gallery, 뉴욕, 미국
    • 1974

      • Nam June Paik: T.V. Sea, Galeria Bonino, 뉴욕, 미국
    • 1968

      • Electronic Art III, Galeria Bonino, 뉴욕, 미국
      • Nam June Paik Exhibit, SUNY Story Brook, Art Gallery, 뉴욕, 미국
    • 1967

      • Art Center of the Paul Klapper Library, 뉴욕, 미국
    • 1965

      • Nam June Paik--Electroninc Art, Galeria Bonino, 뉴욕, 미국
      • Nam June Paik: Cybernetics Art and Music, 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 뉴욕, 미국
    • 1963

      • Exposition of Music--Electronic Television, Galerie Parnass, 부퍼탈, 독일
  • 주요 그룹전

    • 1999

      • Fluxus in Amerika, Rafael Vostell, 베를린, 독일
      • The American Century: Art and Culture,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뉴욕, 미국
    • 1998

      • Out of Actions, The Greffen Contemporary at the Museum of Contemporary Art, LA, 미국
    • 1996

      • Mediascape, Guggenheim Museum SoHo, 뉴욕, 미국
      • The World Over, Stedelijk Museum, 암스테르담, 네덜란드
    • 1995

      • Mixed Pixels: Nam June Paik Students, Kunstmuseum Düsseldorf, 뒤셀도르프, 독일
      • 광주 비엔날레, Biennale: infoART '95, 국립현대미술관, 광주, 대한민국
    • 1994

      • TV As a Creative Medium,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뉴욕, 미국
      • Japanese Art after 1945, Yokohama Museum of Art, 요코하마, 일본
    • 1993

      • Neither East nor West, Taipei Gallery, 타이페이, 대만
    • 1992

      • 백남준 비디오 아트 30년 회고전, 갤러리 미건, 서울, 대한민국
    • 1991

      • I Love Art, The Watari Museum of Contemporary Art, 도쿄, 일본
    • 1989

      • Image World,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뉴욕, 미국
      • Magiciens de la Terre, Centre Georges Pompidou, 파리, 프랑스
      • 1989 Biennial Exhibition,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뉴욕, 미국
      • Commissioned Work 'Theme Hiroshima, Hiroshima City Museum of Contemporary Art, 히로시마, 일본
    • 1988

      • American Baroque, Holly Solomon Gallery, 뉴욕, 미국
      • The New Urban Landscape, World Financial Center, 뉴욕, 미국
      • 백남준 : 보이스 소리, 갤러리 현대, 서울, 대한민국
      • Positionen heutiger Kunst, Nationalgalerie Berlin, 베를린, 독일
      • Nationalgalerie Berlin,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at Equitable Center, 뉴욕, 미국
    • 1987

      • The Arts for Television, The Museum of Contemporary Art, LA, 미국
      • 1987 Biennial Exhibition,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뉴욕, 미국
    • 1985

      • Resolution: A Critique of Video Art/TV Generation, Los Angeles Contemporary Exhibitions, LA, 미국
    • 1984

      • Video Sculpture, ARCA-Centre d'art contemporain, 마르세이유, 프랑스
      • Content: A Contemporary Focus, Hirshhorn Museum and Sculpture Garden, 워싱턴 D.C., 미국
      • Het Lumineuze Beeld, Stedelijk Museum, 암스테르담, 네덜란드
      • Joseph Beuys and Nam June Paik, Galerie Watari, 도쿄, 일본
      • 존 케이지, 머스 커닝햄, 백남준, 원갤러리, 서울, 대한민국
    • 1983

      • Electra, Musée d'art moderne de la ville de Paris, 파리, 프랑스
      • 1983 Biennial Exhibition,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뉴욕, 미국
      • American Video, Hyogo Prefectural Museum of Modern Art, 효고, 일본
    • 1982

      • Laser Video: Nam June Paik, Kunsthalle Düsseldorf, 뒤셀도르프, 독일
    • 1981

      • 60'80 attitudes/concepts/images, Stedelijk Museum, 암스테르담, 네덜란드
      • Fluxus-Aspekte eines Phänomens, Von der Heydt-Museum, 부퍼탈, 독일
      • TV Tactics, Anthology Film Archives, 뉴욕, 미국
      • 1981 Biennial Exhibition,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뉴욕, 미국
      • Centervideo, American Center for Students and Artists, 파리, 프랑스
    • 1980

      • Treffpunkt Parnass, Von der Heydt-Museum, 부퍼탈, 독일
    • 1977

      • Für Augen und Ohren, Akademie der Künste, 베를린, 독일
    • 1977

      • Biennial Exhibition,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뉴욕, 미국
    • 1975

      • Sehen um zu Hören, Kunsthalle Düsseldorf, 뒤셀도르프, 독일
    • 1974

      • 5th International Experimental Film Competition, Knokke-Heist Casino, 벨기에
      • Videobänder, Kölnischer Kunstverein, 쾰른, 독일
      • 2nd International Computer Art Festival, The Kitchen, 뉴욕, 미국
      • Art Now '74, John F. Kennedy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워싱턴 D.C., 미국
    • 1973

      • Circuit: A Video Invitational, Everson Museum of Art, 뉴욕, 미국
    • 1972

      • Cineprobe, The Museum of Modern Art, 뉴욕, 미국
    • 1971

      • Hit and Run Screening, Rizzoli Screening Room, 뉴욕, 미국
    • 1970

      • Happening and Fluxus, Kölnischer Kunstverein, 쾰른, 독일
    • 1969

      • TV As a Creative Medium, Howard Wise Gallery, 뉴욕, 미국
      • Electric Art, UCLA Art Galleries, LA, 미국
    • 1968

      • The Machine, The Museum of Modern Art, 뉴욕, 미국
      • Cybernetic Serendipity, Institute of Contemporary Art, 런던, 영국
      • Sammlung Hahn, Wallraf-Richartz-Museum, 쾰른, 독일
      • Art in Editions, Loeb Student Center at New York University, 뉴욕, 미국
    • 1967

      • Lights in Orbit, Howard Wise Gallery, 뉴욕, 미국
      • The Artist As Filmmaker, The Jewish Museum, 뉴욕, 미국
    • 1966

      • 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Museum of Art, 프로비던스, 로드아일랜드
    • 1965

      • Art Turned on, Institute of Contemporary Art, 보스턴, 미국
    • 1962

      • World Graphic Scores, Minami Gallery, 도쿄,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