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남준
PAIK NAM JUNE

“ 콜라주 기법이 유화물감을 대신하듯이 언젠가는 브라운관이 캔버스를 대신할 때가 올 것이다. ”

비디오 예술의 선구자이며 전위적이고 실험적인 공연과 전시의 표상인 백남준은 1932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백남준은 한국 국적이지만 어느 지역 또는 국적, 특정 문화에 국한되지 않는 ‘유목민적’ 예술 정서를 생애 동안 작품을 통해 표방하였다. 일본 도쿄대학 미학미술사학과를 수학한 후 1956년 독일 뮌헨으로 유학을 떠나 1958년 연주자가 아무것도 연주하지 않는 [4분 30초]를 작곡한 현대 음악가 존 케이지를 만나 큰 감명을 받았다. 이후 1960년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저절로 구성되는 것을 표현하는 전위 예술 흐름인 플럭서스 운동의 중심에서 활동하며 음악의 구성을 해제하고 [심플](1960), [머리를 위한 선](1961) 등의 눈으로 보고 몸으로 느껴지는 파격적인 퍼포먼스를 통해 아티스트로서 유명해지기 시작했다. 이어 TV와 비디오로 매체를 확장시키며 그만의 독창적인 예술 세계를 확립하고 예술에 대한 이전의 경계와 범위를 무너뜨렸다.

백남준은 “예술가는 미래를 사유할 수 있어야 한다”라고 주장하며 진보하는 새로운 테크놀로지에 개방적인 반면, 미디어와 인간과의 소통에 중점을 둔 반(反)테크놀로지를 강조하였다. 그는 TV의 내부 회로를 조작하여 수신 이미지를 조작하거나 관람객의 참여를 유도하였으며, 1980년 위성 기술을 이용한 생방송을 기획, 제작하여 지역의 한계를 넘어 균등한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전위 예술과 대중문화를 잇는 실천적 예술의 행보를 선보였다.

미디어를 통하여 인간의 커뮤니케이션을 강조했던 백남준은 창조적인 예술의 선구자이면서 미래를 내다보는 가장 인간적인 예술가로서, 그의 작품이 주는 메시지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여전히 유효하다.

“한편에 예술이라 불리는 것이 있고, 다른 한편에 커뮤니케이션이라 불리는 것이 있다. 가끔씩 그 둘이 그리는 곡선이 교차한다. 그것이 우리가 말하고자 하는 주제이며 어쩌면 우리의 꿈일지도 모른다.”
ㅡ백남준 (1980)

b. 1932 서울, 대한민국

d. 2006 마이애미, 미국

  • 주요 개인전

    • 2023

      • 《PAIK NAM JUNE : I never read 1984》, 두손갤러리, 서울, 한국
      • 《트랜스미션:너에게 닿기를》, 백남준아트센터, 용인, 한국
      • 《백남준과 제주, 굿판에서 만나다》, 오백장군갤러리, 제주, 한국
      • 《Nam June PAIK x Bernard BUFFET:Historic MEMORIES》, 부산 영도 피아크 별관, 부산, 한국
    • 2022

      • 《백남준 보고서 1968~1979》, 백남준아트센터, 용인, 한국
      • 《Nam June Paik-In the Groove》, 크로아티아 자그레브 현대미술관, 크로아티아
      • 《바로크 백남준》, 백남준아트센터, 용인, 한국
      • 《멀리 보다:백남준의 TV》, 포천문화재단, 포천, 한국
    • 2020

      • 《Nam June Paik-The Future is Now》, 네덜란드 스테델릭 미술관, 네덜란드
      • 《백남준》, 리안갤러리, 서울, 한국
      • 《First Look : The History》, BHAK 갤러리, 서울, 한국
    • 2019

      • 《백남준 회고전》, 테이트모던 미술관, 런던, 영국
      • 《백남준 미디어 'n' 미데아》, 백남준아트센터, 용인, 한국
    • 2018

      • 《30분 이상》, 백남준아트센터, 용인, 한국
    • 2015

      • 《W3》, 학고재, 서울, 한국
    • 2014

      • 《백남준》, 테이트 모던, 런던, 영국
      • 《백남준:로봇이 되다》, 아시아 소사이어티, 뉴욕, 미국
      • 《백남준을 상하이에서 만나다》, 학고재 상하이, 상해, 중국
      • 《나의 예술적 고향:라인란트의 백남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한국
    • 2013

      • 《백남준:과정 속의 미술》, 스미스소니언 박물관, 워싱턴 DC, 미국
      • 《백남준》, 토마스 솔로몬 갤러리, 로스앤젤레스, 미국
    • 2012

      • 《백남준 스펙트럼》, 소마미술관, 서울
      • 《백남준:미술적인 과정》, 스미스소니언 박물관, 워싱턴 DC, 미국
    • 2011

      • 《백남준》, 쿤스트 팔라스트 미술관, 뒤셀도르프, 독일 / 테이트 리버풀, 리버풀, 영국
    • 2010

      • 《백남준》, 쿤스트 팔라스트 미술관, 뒤셀도르프, 독일
    • 2007

      • 《백남준과 한국:환상적인 과도현실》, 텔레포니카 재단, 마드리드, 스페인
    • 2006

      • 《잘가요 백남준》, 와타리 현대미술관, 동경, 일본
      • 《백남준 회고전》, 뉴욕 현대미술관, 뉴욕, 미국
      • 《백남준》, 오렌지 카운티 미술관, 로스앤젤레스, 미국
      • 《종이 위의 백남준》, 보훔 미술관, 보훔, 독일
    • 2005

      • 《핸들에서 우연한 일치》, 레커만 갤러리, 쾰른, 독일
      • 랭프 드 구주, 파리 시립 근대미술관, 파리, 프랑스
    • 2004

      • 《2004 글로벌 그루브》, 독일 구겐하임 재단미술관, 베를린, 독일
      • 《백남준》, 뉴 사우스웨일스 주립미술관, 시드니, 호주
    • 2002

      • 《플럭서스와 비디오 조각》, 빌헬름 렘브루크 미술관, 뒤스부르크, 독일
      • 《전자 저글러II, 백남준과 비디오아트의 탄생》, 카보우르 궁전, 토리노, 이탈리아
    • 2000

      • 《백남준의 세계》, 구겐하임미술관, 뉴욕, 미국 / 호암미술관, 용인, 한국
      • 《그림들》, 현대미술관, 바젤, 스위스
    • 1999

      • 《플럭서스/비디오》, 브레멘 쿤스트할레, 브레멘, 독일
    • 1997

      • 《백남준》, 바이런 코헨/레니 버코위츠 현대미술관, 캔자스시티, 미국
      • 《일렉트로닉 슈퍼하이웨이》, 넬슨-아킨스 미술관, 캔자스시티, 미국 / 호놀롤루 미술관, 호놀룰루, 미국
    • 1996

      • 《백남준 다큐멘테이션》, 캐널시티 하카타, 후쿠오카, 일본
      • 《비디오 조각상, 전자 전류》, 코펜하겐 국립미술관, 코펜하겐, 덴마크
      • 《일렉트로닉 슈퍼하이웨이》, 새너제이 미술관, 새너제이, 미국 / 샌디에이고 현대미술관, 센디에이고, 미국
    • 1995

      • 《High Tech Allergy》, Kunstmuseum, 볼프스부르크, 독일
      • 《Electronic Superhighway》, Holly Solomon Gallery, 뉴욕, 미국
    • 1994

      • 《백남준전》, 후쿠오카미술관, 후쿠오카, 일본
      • 《일렉트로닉 하이웨이:백남준과의 여행》, Fort Lauderdale Museum of Art, 포트로더데일, 미국
      • 《샤먼의 비디오(Lo Sciamano del Video)》, Arengario in the Palazzo Reale, 밀라노, 이탈리아
      • 《백남준 근작 전》, 알버트 브나무-필라프 그라비에, 파리, 프랑스
    • 1993

      • 《베니스 비엔날레를 위한 리허설》, 독일 파빌리온, 홀리 솔로몬 갤러리, 뉴욕, 미국
      • 《유목민 예술가》, 독일 파빌리온,제45회 베니스비엔날레 국제 미술 전시회, 베네치아, 이탈리아
      • 《백남준 최근작》, 와타리 현대미술관, 동경, 일본
    • 1992

      • 《백남준의 두번째 노베첸토:21세기를 향해가는 전자예술, 필름과 미디어(II Nvecento di Nam June Paik)》, Palazzo delle Esposizioni, 로마, 이탈리아
      • 《백남준 비디오때·비디오땅》,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
      • 《사진들》, 홀리 솔로몬 갤러리, 뉴욕, 미국
      • 《체이스 정보벽 영구 실내 조각》, 체이스 메트로테크 센터, 뉴욕, 미국
      • 현대갤러리, 서울, 대한민국
      • 《근작 전》, 한스 메이어 갤러리, 뒤셀도르프, 독일
    • 1991

      • 《Nam June Paik: Video Sculpture》, The Mayor Gallery, 런던, 영국
      • 《백남준》, 베른트&크리프스 갤러리(Galerie Berndt und Krips), 쾰른, 독일
      • 《a Pas de Lou: De Séoul à Budapest》, 갤러리현대 &원갤러리, 서울, 대한민국
      • 《비디오 시간-비이도 공간》, 쿤스트할레바젤, 바젤, 스위스
    • 1990

      • Galerie Lüpke, 프랑크프루트, 독일
      • 《별》, 한스메이어 갤러리(Galerie Hans Mayer), 뒤셀도르프, 독일
      • 산 도미닉의 회랑(Chiostri di San Domenico), 레지오 에밀리아, 이탈리아
      • 《백남준, TV》, 마리카 마라콜다 갤러리(Galerie Marika Malacorda), 제네바, 스위스
    • 1989

      • 《최근 회화와 조각(Nam June Paik: Recent Paintings and Sculpture)》, 홀리 솔로몬 갤러리(Holly Solomon Gallery), 뉴욕, 미국
      • 샌프란시스코 현대미술관(San Francisco Museum of Modern Art), 샌프란시스코, 미국
      • 《백남준(La Fée électroniqu)》, 빌바오 미술관(Museo de Bellas Artes de Bilbao), 빌바오, 스페인
      • 《페리 일렉트로닉》, 파리근대미술관, 파리, 프랑스
      • 《로봇가족》, 후쿠오카 미술관, 후쿠오카, 일본
    • 1988

      • 《메트로봇(Metrobot)》, 현대미술관, 신시내티, 미국
      • Nam June Paik: "V-Idea, Nigel Greenwood Gallery, 런던, 영국
      • 《비디오 워크(Nam June Paik: Video Works 1963-88)》, 헤이워드 갤러리(hayward Gallery), 런던, 영국
    • 1987

      • 《백남준전》, 후쿠이 극장 FBC, 후쿠이현, 일본
      • 《바이 바이 키플링 드로잉전(Bye-Bye Kipling Drawings)》, 와타리 갤러리(Galerie Watari), 도쿄, 일본
    • 1986

      • Family of Robot, Holly Solomon Gallery, 뉴욕, 미국
      • Family of Robot, Carl Solway Gallery, 신시내티, 미국
    • 1984

      • 《25백만 사람들을 위한 아트: 굿모닝 미스터 오웰(Art for 25 Million People)》, 쿤스트-세틀리트, 다다갤러리(daadagalerie), 베를린, 독일
      • 《백남준 :BSO, 그너머(Nam June Paik: BSO and Beyond)》, 보스턴현대미술학회(Institute of Contemporary Art), 보스턴, 미국
      • 《백남준 비디오전(Nam June Paik--Mostly Video)》, 도쿄도미술관(Tokyo Metropolitan Art Museum), 도쿄, 일본
    • 1983

      • 《Video Flag》, Carl Solway Gallery, 신시내티, 미국
    • 1982

      • 《백남준》, 국립 조르주 퐁피두 예술센터(Centre Georges Pompidou), 파리, 프랑스
      • 《백남준》,휘트니미술관(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뉴욕, 미국
    • 1981

      • 《바이스, 케이지, 커닝햄, 백남준(By with of on Beuys, Cage, Cunningham, paik)》, 와타리 갤러리(Galerie Watari), 도쿄, 일본
    • 1980

      • 《종이 TV와 열대 물고기(VIDEA Iro Iro: PAPER TV and Tropical Fish)》, 와타리 갤러리(Galerie Watari), 도쿄, 일본
      • 《미국 새로운 영화제작자 시리즈(The New American Filmmakers Series》, 휘트니미술관(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뉴욕, 미국
    • 1978

      • 《백남준 회고전(Nam June Paik Rétrospective)》, 파리 시립 근대미술관(Musée d'Art Moderne de la Ville de Paris), 파리, 프랑스
      • 《Fluxus Traffic》, René Block Gallery, 베를린, 독일
      • 《존 케이지 헌정 전(A Tribute to John Cage)》, 와타리 갤러리(Galerie Watari), 도쿄, 일본
    • 1977

      • 《프로젝트:백남준(Projects: Nam June Paik)》,뉴욕현대미술관, 뉴욕, 미국
    • 1976

      • 《Moon Is the Oldest TV-Set》, René Block Gallery, 뉴욕, 미국
      • 《1946-1976 음악-플럭서스-비디오 작품》, 쾰른 미술협회, 쾰른, 독일
    • 1975

      • 《Nam June Paik》, René Block Gallery, 뉴욕, 미국
      • 《물고기 하늘을 날다(Fish on the Sky)》, 마샤 잭슨 갤러리(Martha Jackson Gallery), 뉴욕, 미국
    • 1974

      • 《Nam June Paik: T.V. Sea》, Galeria Bonino, 뉴욕, 미국
      • 《1959-1973 비디오와 비디올로지》, 에버슨 미술관, 뉴욕, 미국
    • 1968

      • 《Electronic Art III:백-아배 비디오》, 보니노갤러리(Galeria Bonino), 뉴욕, 미국
      • 《Electronic Art II》, 보니노갤러리(Galeria Bonino), 뉴욕, 미국
      • 《백남준》, 뉴욕주립대 스토니브룩 미술관(SUNY Story Brook, Art Gallery), 뉴욕, 미국
    • 1967

      • Art Center of the Paul Klapper Library, 뉴욕, 미국
      • 《확장하는 예술개념》, 고드윈-턴바크 미술관, 퀸즈대학, 뉴욕, 미국
    • 1965

      • 《백남준:일렉트로닉 아트(Nam June Paik-Electroninc Art)》, 보니노갤러리(Galeria Bonino), 뉴욕, 미국
      • 《백남준:사이버네틱 아트와 음악(Nam June Paik: Cybernetics Art and Music)》, 뉴스쿨(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 뉴욕, 미국
    • 1963

      • 《음악의 전시-전자 TV(Exposition of Music-Electronic Television)》, 파르나갤러리(Galerie Parnass), 부퍼탈, 독일
      • 《예술의 통찰력을 확대하다》, 폴클래퍼 도서관 아트센터, 뉴욕, 미국
  • 주요 그룹전

    • 2023

      • 《이건희컬렉션 한국근현대미술 특별전:사계》, 경기도미술관, 안산, 한국
    • 2022

      • 《백남준 효과》,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
    • 2021

      • 《소장전:그날의 이야기》, 전남도립미술관, 전라남도, 한국
    • 2020

      • 《ㄱ의 순간》, 예술의전당, 서울, 한국
    • 2019

      • 《한국 비디오 아트 7090:시간 이미지 장치》,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 2018

      • 《현대미술사전, 7 키워드》, 전북도립미술관, 전북 완주, 한국i>
    • 2017

      • 《역사를 몸으로 쓰다》,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
      • 《호기심의 방》, 키미아트, 서울, 한국
      • 《균열》,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
    • 2015

      • 《TV는 TV다》, 백남준아트센터, 용인, 한국
    • 2014

      • 《우리가 경탄하는 순간들》, 삼상당대미술관, 항저우, 중국
      • 《굿모닝 미스터 오웰 2014》, 백남준아트센터, 용인, 한국
      • 《백남준과의 하루》, 경기도미술관, 안산, 한국
      • 《말에서 크리스토까지》, 백남준아트센터, 용인, 한국
    • 2013

      • 《러닝 머신》, 백남준아트센터, 용인, 한국
      • 《부드러운 교란-백남준을 말하다》, 백남준아트센터, 용인, 한국
      • 《한국현대판화 50년전》, 마닐라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마닐라, 필리핀
      • 《Now & Now:서울시립미술관 2012 신소장작품》,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 2012

      • 《노스텔지아는 피드백의 제곱》, 백남준아트센터, 용인, 한국
      • 《글로벌 그루브》, 일라이와 에디스 브로드 미술관, 이스트랜싱, 미국
      • 《X-Sound:존케이지와 백남준 이후》, 백남준아트센터, 용인
      • 《광주시립미술관 개관20주년특별전II:진(進), 통(通)-1990년대 이후 한국현대미술》,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한국
    • 2011

      • 《비디오, 미술, 역사, 1965-2010》, 싱가포르 미술관, 싱가포르
      • 《세계의 측정》, 헤테로토피아와 미술 안에서의 지식공간, 쿤스트하우스, 그라츠, 오스트리아
      • 《비디오와 포스트 [주드 얄쿠드와 함께]》, 국립현대미술관, 파리, 프랑스
      • 《TV 코뮨》, 백남준아트센터, 용인, 한국
      • 《미디어스케이프, 백남준의 걸음으로》, 백남준아트센터, 용인, 한국
    • 2010

      • 《과거-현재, 퐁피투센터 뉴미디어 콜렉션》. 텔레포니카 재단, 마드리드, 스페인
      • 《아트광주 2010》, 김대중 컨벤션센터, 광주, 한국
      • 《트릭스터가 세상을 만든다》, 백남준아트센터, 용인, 한국
      • 《움직이는 이미지, 아티스트 & 필름》, 루드비히 박물관, 쾰른, 독일
      • 《5월의 꽃》, 재단법인 광주비엔날레, 광주, 한국
      • 《렌덤액세스》, 백남준아트센터, 용인, 한국
    • 2009

      • 《바이털 시그널, 1960-70년대 일본과 미국의 비디오아트, 오픈 텔레비전》,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 로스앤젤레스, 미국
      • 《오픈 텔레비젼》, 로스앤젤레스 카운티미술관, 로스앤젤레스, 미국
      • 《예술은 위대하다!》, 함부르크반호프 현대미술관, 베를린, 독일
      • 《레코드 어게인!》, 아헨 루드비히 포럼, 아헨, 독일
      • 《신화의 전시-전자테크놀로지》, 백남준아트센터, 용인, 한국
      • 《매크로, 로마에서의 여름》, 로마 국립 현대미술관, 로마, 이탈리아
      • 《팝-업!》, 아헨 루드비히 포럼, 아헨, 독일 / 헤셀 미술관, 뉴욕, 미국
      • 《참여의 미, 1950년부터 현재까지》, 샌프란시스코 현대미술관, 샌프란시스코, 미국
      • 《백남준페스티벌 나우 점프》, 백남준아트센터, 용인
    • 2008

      • 《플럭서스 스코어와 지시들, 전환포인트, 샐러드를 만들다》, 덴마크 현대미술관, 로스킬레, 덴마크
      • 《굿모닝 미스터 백남준》, 주 영국 한국문화원, 런던, 영국
      • 《퐁피두센터 뉴미디어 1965-2003》, 쉬아두 국립 현대미술관, 리스본, 포르투갈
    • 2007

      • 《플럭서스, 매듭이 많은 역사, 독일 1962-1994》, 안달루시아 현대 미술센터, 세비야, 스페인
      • 《퐁피두센터, 비디오아트 1965-2005》, ACMI, 멜버른, 호주
      • 《제1세대, 미술과 움직이는 이미지, 1963-1986》, MNCARS, 마드리드, 스페인
      • 《뉴미디어 콜렉션, 1965-2005》, 시드니 현대 미술관, 시드니, 호주
    • 2006

      • 《비디오, 미술, 역사, 1965-2005, 퐁피두센터 뉴미디어 콜렉션》, 마이애미 아트 센트럴, 마이애미, 미국
      • 《뉴미디어 콜렉션, 1965-2005, 퐁피두센터》, 타이베이시립미술관, 타이베이, 대만
      • 《아무것도》, 쉬른 쿤스트할레 미술관, 프랑크프루트, 독일
      • 《독일의 60년대 비디오아트》, 브레멘 쿤스트할레, 브레멘, 독일
      • 《확대된 눈》, 취리히미술관, 취리히, 스위스
      • 《포토-트래픽》, 성 제르베 현대 이미지센터, 제네바, 스위스
      • 《상점, 피에르 후버 비디오아트 콜렉션》, 국립 현대 중앙미술관, 그르노블, 프랑스
      • 《사랑의 여름》, 빈 쿤스트할레, 빈, 오스트리아
      • 《나의 바다를 삼키다》, 루이지애나 현대미술관, 흄레벡, 덴마크
      • 《동경-베를린, 베를린-동경》, 모리미술관, 동경, 일본
      • 《제35회 로테르담 국제영화제》, 로테르담, 네덜란드
    • 2005

      • 《여자, 모더니즘의 변형》, 호안 미로 미술관, 바르셀로나, 스페인
      • 《모더니즘과의 만남》, 현대미술관, 리우데자네이루, 브라질
      • 《프레드릭 크리스천 플릭 콜렉션》, 함부르크반호프 현대미술관, 베를린, 독일
      • 《오키오 엘렉트로니코에서부터》, 리볼리 성, 리볼리, 이탈리아
      • 《50주년 도큐멘타, 1955-2005》, 쿤스트할레 프리데치아눔, 카셀, 독일
      • 《믹스더블》, 카네기 미술관, 피츠버그, 미국
      • 《값업는 링》, 프란츠 게르취 미술관, 부르크도르프, 스위스
      • 《초기의 비디오그래피》, 국립현대미술관, 아테네, 그리스
      • 《신소장품전》, K21 쿤스트 잠믈릉, 뒤셀도르프, 독일
      • 《나는 작품을 만들고 있다》, 퀸즈랜드 아트갤러리, 브리즈번, 호주
      • 《독일 미술 지역》, 국립현대미술관, 부쿠레슈티, 루마니아
      • 《극장미술》, 빌라마닌 현대미술센터, 코드로이포, 이탈리아
      • 《세계적 유산》, 카네기 미술관 셀렉션, 컬럼버스 미술관, 컬럼버스, 미국
      • 《미에 관한 이야기》, 세계문화의 집, 베를린, 독일
      • 《궁금증의 벽》, NIMK, 암스테르담, 네덜란드
      • 《현대》, 후안 마르치 재단, 마드리드, 스페인
      • 《1965-2005 타임비디오-노부 미디어 콜렉션》, 퐁피두센터, 라카이사 현대미술관 재단, 바르셀로나, 스페인
      • 《슈퍼스타들》, 쿤스트할레, 빈, 오스트리아
    • 2004

      • 《빛과 소리, 20세기 소리의 역사》, 국립 조르주 퐁피두 예술센터, 파리, 프랑스
      • 《독일에서의 비디오 조각품들, 1963년부터》, 국립박물관, 방콕, 태국
      • 《하이퍼미디어》, 오렌지 카운티 미술관, 로스앤젤레스, 미국
      • 《아버지가 되는, 아기가 되는》, 브롱크스 미술관, 뉴욕, 미국
      • 《비디오 중, 복구된 비디오콜렉션》, 아헨 루드비히 포럼, 아헨, 독일
      • 《이미지 전과 후》, 로마 국립 현대박물관, 로마, 이탈리아
      • 《agnes b.- 프락미디피레네 콜렉션》, 툴루즈, 프랑스
      • 《비디오아트, 소유의 여행》, 레잔티 파운데이션, 룩카, 이탈리아
      • 《미술&인생》, 하라 현대미술관, 동경, 일본
      • 《보물섬, 볼프스부르크 미술관의 10년 컬렉션》, 볼프스부르크 미술관, 독일
      • 《나는 미술을 사랑한다 7》, 와타리 현대미술관, 동경, 일본
    • 2003

      • 《비디오 장면들, 싱글채널 작품-파멜라와 리차드 크람리히콜렉션 & 뉴 아트 트러스트 로부터》. 뉴욕현대미술관 PS1, 뉴욕, 미국
      • 《누가 현대미술을 두려워하는가?》, 이스라엘 미술관, 예루살렘, 이스라엘
      • 《X-Screen, 1960-1970 필름 설치와 액션》, 현대미술관, 빈, 오스트리아
      • 《최근 인수 작품들》, 몬트리올 현대미술관, 몬트리올, 캐나다
      • 《특별할 것 없는, 예술과 창의적 기술을 위한 테크놀로지 재단》, 리버풀, 영국
    • 2002

      • 《레제흐브에서 동물들이 나온다》, 국립 조르주 퐁피두 예술센터, 어린이 갤러리, 파리, 프랑스
      • 《플럭서스와 비디오 조각》, 빌헬름 렘브루크 미술관, 뒤스부르크, 독일
      • 《나의 예술적 고향: 라인란트》, NRW-뒤셀도르프 포럼, 뒤셀도르프, 독일
    • 1999

      • 《Fluxus in Amerika, Rafael Vostell》, 베를린, 독일
      • 《기하학적인 모양: 현대미술의 구조, 앨버스와 파이크, 다임러-크라이슬러 컬렉션》, 신국립미술관, 베를린, 독일
      • 《독일의 XX세기 미술》, 함부르크 반호프 현대미술관, 베를린, 독일
      • 《세기의 미국: 미술과 문화 1900-2000(The American Century: Art and Culture)》, 휘트니미술관(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뉴욕, 미국
    • 1998

      • 《행동을 벗어나: 퍼포먼스와 물건 사이, 1949-1979(Out of Actions)》, MOCA 게펜 컨템포러리(The Greffen Contemporary at the Museum of Contemporary Art), LA, 미국
    • 1997

      • 《조각상, 뮌스터에서의 프로젝트 1997》, 뮌스터, 독일
    • 1996

      • 《미디어 풍경(Mediascape)》, 구겜하임 미술관 소호(Guggenheim Museum SoHo), 뉴욕, 미국
      • 《사운드 아트》, 베를린 예술원, 베를린, 독일
      • 《The World Over》, Stedelijk Museum, 암스테르담, 네덜란드
    • 1995

      • 《혼합된 픽셀:백남준과 학생들, 비디오 꿈 1978-1955()Mixed Pixels: Nam June Paik Students)》, 뒤셀도프르 미술관(Kunstmuseum Düsseldorf), 뒤셀도르프, 독일
      • 《제1회 광주 비엔날레 특별전 : 인포아트 95》, 광주 시립미술관, 광주, 한국
      • 《매듭 많은 역사: 독일에서의 플럭서스 1962-1994》, 오랑주리 미술관, 파리, 프랑스
      • 《제4회 이스탄불 비엔날레》, 이스탄불 예술문화재단, 이스탄불, 터키
      • 《제3회 리옹 비엔날레:설치미술, 시네마, 비디오, 컴퓨터》, 리옹 현대미술관, 리옹, 프랑스
    • 1994

      • 《하워드 와이스 갤러리: 창의적인 재료로서의 TV(TV As a Creative Medium)》, 휘트니 미술관(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뉴욕, 미국
      • 《1945년 이후의 일본미술: 하늘을 향해 소리지르다(Japanese Art after 1945)》, 요코하마 미술관(Yokohama Museum of Art), 요코하마, 일본
      • 《홈 비디오의 재정의: 미디어, 조각, 가정》, 현대미술센터, 마이애미, 미국
    • 1993

      • 《Neither East nor West》, 타이페이 갤러리(Taipei Gallery), 타이페이, 대만
      • 《플럭서스의 정신으로》, 워커 아트센터, 미니애폴리스, 미국
      • 《조지 마셀리츠, 엔조 쿠치, 울프갱 라이브, 백남준, 피에르 레이나드》, 보르도 현대미술관, 보르도, 프랑스
    • 1992

      • 백남준 비디오 아트 30년 회고전, 갤러리 미건, 서울, 대한민국
    • 1991

      • 《나는 미술을 사랑한다(I Love Art)》, 와타리 현대미술관(The Watari Museum of Contemporary Art), 도쿄, 일본
    • 1990

      • 《제8회 시드니 비엔날레:레디메이드 부메랑, 20세기 미술의 특정 관계들》, 시드니, 호주
    • 1989

      • 《이미지 세계: 미술과 미디어 문화(Image World)》, 휘트니미술관(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뉴욕, 미국
      • 《Magiciens de la Terre》, Centre Georges Pompidou, 파리, 프랑스
      • 《휘트니 비엔날레(1989 Biennial Exhibition)》, 휘트니미술관(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뉴욕, 미국
      • 《Commissioned Work 'Theme Hiroshima》, Hiroshima City Museum of Contemporary Art, 히로시마, 일본
    • 1988

      • American Baroque, Holly Solomon Gallery, 뉴욕, 미국
      • 《온 트랙: 테크놀로지 안의 미술 전시》, 노바 빌딩, 앨버타, 캐나다
      • 《비디오 아트: 확장하는 형태》, 휘트니미술관, 뉴욕, 미국
      • 《호주 비엔날레 1988 : 남십자성, 세계 미술에 대한 관점 1940-1988》, 뉴사우스웨일스 주립미술관, 시드니, 호주
      • 《The New Urban Landscape》, World Financial Center, 뉴욕, 미국
      • 《백남준 : 보이스 소리》, 갤러리 현대, 서울, 대한민국
      • 《미술의 현재 위치(Positionen heutiger Kunst)》, 신국립미술관(Nationalgalerie Berlin), 베를린, 독일
      • 《Nationalgalerie Berlin》,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at Equitable Center, 뉴욕, 미국
    • 1987

      • 《텔레비전을 위한 예술(The Arts for Television)》, 현대미술관(The Museum of Contemporary Art), LA, 미국
      • 《1987 휘트니 비엔날레(1987 Biennial Exhibition)》, 휘트니미술관(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뉴욕, 미국
      • 《시간, 유행, 열정: 예술의 외형, 1977-1987》, 국립 조르주 퐁피두 예술문화센터, 파리, 프랑스
      • 《도큐멘타 8》, 카셀, 독일
    • 1985

      • 《Resolution: A Critique of Video Art/TV Generation》, Los Angeles Contemporary Exhibitions, LA, 미국
      • 《비디오 조각》, ARCA 현대미술센터, 마르세유, 프랑스
    • 1984

      • Video Sculpture, ARCA-Centre d'art contemporain, 마르세이유, 프랑스
      • 《제41회 베니스 비엔날레: 미술, 현재 이벤트, 그리고 역사》, 영국문화원, 런던, 영국
      • 《비디오: 회고》, 롱비치 미술관, 롱비치, 미국
      • 《내용: 현시대의 포커스(Content: A Contemporary Focus)》, 허시혼박물관과 조각공원(Hirshhorn Museum and Sculpture Garden), 워싱턴 D.C., 미국
      • 《Het Lumineuze Beeld》, Stedelijk Museum, 암스테르담, 네덜란드
      • 《Joseph Beuys and Nam June Paik》, Galerie Watari, 도쿄, 일본
      • 《존 케이지, 머스 커닝햄, 백남준》, 원갤러리, 서울, 한국
    • 1983

      • 《Electra》, Musée d'art moderne de la ville de Paris, 파리, 프랑스
      • 《휘트니 비엔날레(1983 Biennial Exhibition)》, 휘트니 미술관(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뉴욕, 미국
      • 《미국 비디오: 스무개의 새로운 작품들(American Video)》, 효고현립미술관(Hyogo Prefectural Museum of Modern Art), 효고, 일본
    • 1982

      • 《Laser Video: Nam June Paik》, Kunsthalle Düsseldorf, 뒤셀도르프, 독일
      • 《태도/컨셉/이미지》, 시립미술관, 암스테르담, 네덜란드
      • 《비스바덴 플럭서스 1962-82, 플럭서스의 짧은 역사 1,2,3부》, 나사우 미술관 비스바덴, 비스바덴, 독일
    • 1981

      • 《60'80 attitudes/concepts/images》, Stedelijk Museum, 암스테르담, 네덜란드
      • 《Fluxus-Aspekte eines Phänomens》, Von der Heydt-Museum, 부퍼탈, 독일
      • 《TV Tactics》, Anthology Film Archives, 뉴욕, 미국
      • 《휘트니 비엔날레 (1981 Biennial Exhibition,)》 휘트니미술관(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뉴욕, 미국
      • 《Centervideo》, American Center for Students and Artists, 파리, 프랑스
    • 1980

      • 《파르나스의 미팅포인드(Treffpunkt Parnass)》, 폰 데어 호이트 미술관(Von der Heydt-Museum), 부퍼탈, 독일
      • 《나의 쾰른 성당》, 쾰른 미술협회, 쾰른, 독일 / 발라프-리하르츠 미술관, 쾰른, 독일 / 루드비히 박물관, 쾰른, 독일
    • 1977

      • 《Für Augen und Ohren》, Akademie der Künste, 베를린, 독일
      • 《휘트니 비엔날레(Biennial Exhibition)》, 휘트니미술관, 뉴욕, 미국
      • 《도큐멘타 6》, 카셀, 독일
    • 1976

      • 《뉴욕-다운타운 맨해튼:소호》, 베를린 예술원, 베를린, 독일
      • 《강:미시시피의 이미지》, 워커 아트센터, 미니애폴리스, 미국
    • 1975

      • 《청각을 위한 시각: 물건들, 콘서트와 시각적 음악(Sehen um zu Hören)》, 뒤셀도르프 미술관(Kunsthalle Düsseldorf), 뒤셀도르프, 독일
      • 《비디오 아트》, 펜실베니아 대학교, 펜실베니아 예술 아카데미, 필라델피아, 미국
      • 《제13회 상파울루 비엔날레》, 비디오아트 USA, 상파울루, 브라질
      • 《눈부실 현실》, 라이트주립대학교 미술관, 데이턴, 미국
    • 1974

      • 《제5회 국제필름 실험대회(5th International Experimental Film Competition)》, 크노케 헤이스트 카지노(Knokke-Heist Casino), 크노케 헤이스트, 벨기에
      • 《비디오테이프(Videobänder)》, 퀼른 미술협회(Kölnischer Kunstverein), 쾰른, 독일
      • 《미술은 미술이다, 70년대 이후의 국제 미술을 향한 관점》, 프로젝트 74, 쾰른 쿤스트할레, 쾰른, 독일
      • 《2nd International Computer Art Festival》, The Kitchen, 뉴욕, 미국
      • 《현재의 미술 74: 미국 미술 기념 전시회(Art Now '74)》, 케네디 예쑬센터(John F. Kennedy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워싱턴 D.C., 미국
    • 1973

      • 《회로: 비디오초청(Circuit: A Video Invitational), 에버슨 미술관(Everson Museum of Art), 시러큐스, 미국
      • 《크림-유럽 아방가르드 1950-1970》, 튀빙겐 미술관, 튀빙겐, 독일
    • 1972

      • 《시네프로브: 주드 얄쿠드와 백남준과 함께한 저녁(Cineprobe)》, 뉴욕 현대미술관(The Museum of Modern Art), 뉴욕, 미국
    • 1971

      • 《뺑소니 상영(주드 얄쿠트와 콜라보(Hit and Run Screening)》, 리졸리 시사회실(Rizzoli Screening Room), 뉴욕, 미국
    • 1970

      • 《해프닝과 플럭서스(Happening and Fluxus)》, 쾰른 미술협회(Kölnischer Kunstverein), 쾰른, 독일
      • 《시각과 텔레비전》, 브랜다이스대학교 로즈미술관, 월섬, 미국
    • 1969

      • 《창조적 매체로서의 TV(TV As a Creative Medium), 하워드 와이즈 갤러리(Howard Wise Gallery), 뉴욕, 미국
      • 《전기미술(Electric Art)》, UCLA Art Galleries, LA, 미국
      • 《다른 아이디어들》, 디트로이트 미술관, 디트로이트, 미국
    • 1968

      • 《기계: 기술시대의 끝에서(The Machine)》, 뉴욕 현대미술관(The Museum of Modern Art), 뉴욕, 미국
      • 《인공두뇌학의 뜻밖의 즐거움: 컴퓨터와 미술(Cybernetic Serendipity)》, 현대미술학회(Institute of Contemporary Art), 런던, 영국
      • 《한 컬렉션: 현대미술(Sammlung Hahn)》, 발라프-리하르츠 미술관(Wallraf-Richartz-Museum), 쾰른, 독일
      • 《아트 에디션: 새로운 도전(Art in Editions)》, 뉴욕대학교 로에브 학생센터(Loeb Student Center at New York University), 뉴욕, 미국
    • 1967

      • 《궤도 위의 빛(Lights in Orbit)》, 하워드 와이즈 갤러리(Howard Wise Gallery), 뉴욕, 미국
      • 《빛/움직임/공간》, 워커아트센터, 미니애폴리스, 미국
      • 《아티스트로서의 영상메이커(The Artist As Filmmaker)》, 유태인 미술관(The Jewish Museum), 뉴욕, 미국
    • 1966

      • 《키네틱과 프로그램된 미술》, 로드아일랜드 디자인스쿨 미술관(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Museum of Art), 프로비던스, 미국
    • 1965

      • 《조율된 미술(Art Turned on)》, 보스턴 현대미술관(Institute of Contemporary Art), 보스턴, 미국
    • 1962

      • 《세계 도형의 악보들(World Graphic Scores)》, 미나미 갤러리(Minami Gallery), 도쿄,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