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dam Padam, 빠담빠담 : 재불작가 그룹 전 김춘환 Kim Chun-Hwan 유혜숙 Yoo Hye-Sook 윤희 Yoon-Hee 이수경 Lee Soo-Kyoung 이진우 Lee Jin-Woo 진유영 Tchine Yu-Yeung 빠담빠담은 프랑스적이면서 동시에 한국적인 재불작가 6인 김춘환, 유혜숙, 윤희, 이수경, 이진우, 진유영의 전시이다. 가장 ‘프랑스적’이라는 것은 이들 작업이 6인 6색으로 ‘차이’를, 그것도 미학적으로 뛰어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는 사실이다. 6인의 작가는 마티에르에서 테크닉까지 각각 놀라운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프랑스가 ‘예술의 나라’로 불리는 것은 이 차이를 존중하고 인정하는 폭이 넓다는 의미이다. 프랑스의 오랜 ‘차이의 역사’라는 배경이, 질 들뢰즈가 “차이”의 사상을, 자크 데리다의 “차연(différance)”을 가능하게 했고, 전 세계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그렇다면, 이들에게 볼 수 있는 한국적인 것은 무엇일까? 이들의 신체와 품성은 원산지가 한국이다. 이 작가들은 수 겹에서 수십 겹의 레이어를 사용하고, 조각마저도 강도 높은 신체의 위험성을 담보로 제작된다. 시공간의 제약을 온몸으로 그대로 받으면서 지독하게 신체를 소모하는 작업이 대부분이다. 단색화가 한국적인 중요한 근거이자 특성 중의 하나는 바로 이러한 ‘신체성’에 있다. 그 뿌리는 나전칠기, 단청 등을 하는 조선 장인들이나, “소년 문장은 있어도 소년 명필은 없다.”라는 말처럼 서예의 한 획을 제대로 긋기 위해서는 수십 년을 노력해야 하는 그러한 전통에서 온 것이다. 마침내, 이 전시의 제목인 “Padam Padam, 빠담빠담”에 대해서 설명해 보자. 에디트 피아프(Édith Piaf, 1915~1963)의 유명한 샹송인, ‘빠담빠담’에 대한 정의를 찾으려고, 로베르 사전(Robert Dictionnaire)을 비롯한 몇몇 사전을 찾아보았으나 목록에 없었다. 몇몇 프랑스 지식인에게 물으니, “파리라는 도시에 붙은 별명인 ‘Paname’을 가리킬 수도 있다”고도 하고, ‘랄라라’처럼 의미 없이 붙여진 후렴이라고도, 하물며 ‘두근두근’ 심장이 뛰는 소리라고도 한다. 그러면, 뜻이 아니라 ‘빠담빠담’이라는 의성어의 느낌을 말해 달라고 하니, 한 작가는 “살아있는 소리”라고 하고, 또 다른 이는 “노래가 뛰어오는 소리”라고 한다. 정답이 없다는 것은 고민스러운 삶을 야기하기도 하지만, 그만큼 의미를 풍부하게 한다. 예술에는 정답이 없다.
이탈리아 작가 니콜라 푸치(Nicola Pucci) 아시아 첫 단독 개인전 “ 이번 전시에서 나는 에너지의 개념을 가장 잘 표현한 작품들을 선정했다. 나는 물리적인 관점에서 에너지를 표현하는 한편, 무엇보다 영적이고 내면적인 관점에서 에너지를 표현한다. ” - 니콜라 푸치 니콜라 푸치는 로마에서 수학하였으며 초현실주의를 비롯하여 상징주의와 형이상학 등 다양한 미술사조와 경향으로부터 영감을 받아 사진이나 이미지에서 차용한 다른 출처의 요소들을 하나의 그림 안에서 결합하는 방식으로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를 넘나드는 작업을 탐구하고 전개해왔다. 유럽과 북미를 중심으로 활동해온 니콜라 푸치는 사치 갤러리 등 유명 갤러리 뿐만 아니라 각지의 미술관에서 개인전을 진행하며 가고시안 컬렉션을 비롯한 유수 컬렉션에 소장되는 등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작가이다. 이번 전시는 니콜라 푸치가 표현하는 에너지를 동양철학의 기(氣)로써 재해석하여 풀어나간다. 작가는 물리적인 관점에서 에너지를 표현하는 한편 무엇보다도 영적이고 내면적인 관점에 중점을 두고자 한다. 니콜라 푸치의 작품은 정교하고 세밀한 묘사 위에 감정적인 몸짓을 통해 덧입혀져 통제되지 않는 순간으로 하여금 에너지가 폭발하여 사방으로 퍼지고 모든 공간에 스며들도록 한다. 니콜라 푸치는 기(氣)와 운동성의 결합 그리고 그 안에서 본능에 의해 결정되는 주관적 타당성을 우리에게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다만 작품 안에 흩뿌려진 폭발하는 역동적인 찰나의 순간으로 하여금 비현실을 받아들임에 대한 열린 방향성을 제시한다. 관객은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당연한 세계와 상충하는 니콜라 푸치의 "당면한 세계"를 마주하게 된다. 니콜라 푸치는 작품 속에서 '실재함'의 고정관념을 뒤바꾼다. 이번 전시를 통하여 인식과 이해를 넘어 니콜라 푸치의 "당면한 세계"를 만나는 시간이 될 것이다. “In this exhibition I have selected the works in which I best represent the concept of energy. I represent energy both from a physical point of view, but above all from a spiritual and inner point of view.” - Nicola Pucci Nicola Pucci studied in Rome. He has inspired by surrealism, symbolism and metaphysics and developed his own work which crosses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illusion by merging elements from other sources taken from the photographs and images in one painting. Nicola Pucci has been mainly active in Europe and North America. He is a World-renowned artist who had held solo exhibitions at prominent galleries such as Saatchi Gallery, and housed in renowned collections including the Gagosian Collection. This exhibition which reinterprets the spirit of Eastern philosophy called Chi(energy). While expressing energy from a physical perspective of view, above all the artist intends to focus on spiritual and inner points of view. Pucci's work is layered on the top of elaborated and detailed depictions with emotional gestures allowing uncontrolled moments to explode, spread in multi directions to permeate all spaces. Pucci’s work does not directly explain the combination of Chi(energy) and motility, and the subjective validity determined by instinct. However, the scattered, exploding, and dynamic fleeting moments in the work suggest an open path for accepting the unreality. The audience is introduced to Nicolas Pucci's "Granted World," which contrasts with the obvious world we are familiar with. He changes the stereotype of 'existence' in his work. Through this exhibition, we hope that it will be a great chance to meet Nicola Pucci's "Faced Moment" beyond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우리는 스스로의 눈으로 자신의 모습을 볼 수 없다. 그렇기에 우리는 이 거울이라는 도구를 이용해 스스로를 바라보며 본인의 내외적인 형태를 다듬는 행위를 하게 된다. 이렇게 거울을 통해 나를 돌아보며 자아를 찾아가는 일련의 과정들을, 작가는 불교적 사상으로 연장함으로써 이 작업은 시작되었다." 작가에 의해 만들어진 거울 'Kinetic Mirror'는 눈을 떠 나를 보려 하면 온전한 나를 볼 수 없게 한다. 하지만 반대로 눈을 감으면 거울은 비로서 '나'를 비춘다. 보려 하면 보이지 않게 하고 보지 않으려하면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마치 거울이 자신 앞에 서서 거울을 바라보고 있는 이에게 보고 싶다고 하면 보지 말라고 말하는 것처럼 느껴진다. 작가는 여기서 생기는 의문을 파고들어, 우리가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고 답하기 위한 도구로써 거울을 제시한다. 끊임없이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고 답하기를 반복하며 끝없는 문답이 오가는 사이, 거울은 어느 순간 우리에게 부처가 되고 거울 안에 존재하는 우리 자신도 부처가 된다. 거울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우리는 실상과 허상 모두에 존재하게 되며 서로 문답을 하는 사이 허와 실의 경계는 무너지고 문답의 과정은 내가 찾는 답 그 자체가 되는 것이다. 이것이 작업을 통해 작가가 얻고자 하는 자아 성찰의 과정이며 이번 전시를 통해 우리가 보아야 할 부처의 모습일 것이다. With our own eyes, we cannot see ourselves. Therefore, we examine ourselves in the mirror as a tool to perform the act of refining our own internal and external form. This work began by extending the series of processes of looking in the mirror and finding oneself through Buddhism. When you open your eyes and try to see yourself, the 'Kinetic Mirror' makes it impossible to see your entire self. Conversely, when you close your eyes, the mirror finally reflects the entire “oneself.” If you try to see it you cannot. If you try not to stare, you can see it. It is as if the mirror is standing in front of you and telling you not to look at it if you want to see the true self. The artist seizes on the curiosity and presents a mirror as a tool for us to seek and answer the questions beyond meanings. In the middle of countless questions and answers, the mirror becomes a Buddha and the person inside the mirror also becomes a Buddha. Through the medium of the mirror, we exist in both reality and illusion. When we exchange questions and answers,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emptiness collapses. The process of dialogue becomes the answer I seek. This is the process of self-reflection that the artist wants to achieve through his work, and it will be the image of Buddha that we should see through this exhibition.